1. GOOGL 이해하기 – 기본 개요
GOOGL은 Alphabet Inc. Class A 보통주의 티커입니다.
- 의결권 보유 주식으로, 주주총회 의결권이 부여됩니다.
- 상장 시장: NASDAQ
- 설립 및 구조 개편: 2015년, 구글은 지주회사인 Alphabet Inc.로 전환하며, GOOGL 및 의결권 없는 GOOG(Class C) 주식을 도입했습니다.
- CEO: Sundar Pichai(구글 및 알파벳).
GOOGL은 주주의 의결권을 중요시하는 장기 투자자에게 선호되며, 지배 구조 반영 및 기업 정책 수립에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합니다.
2. 주가 지표 및 재무 성과
📊 핵심 주가 및 재무 지표 (2025년 6월 기준)
주가 | $175.99 |
시가총액 | 약 $1.88 조 | |
P/E (TTM) | 약 19.4배 |
EPS (TTM) | $9.06 |
Forward P/E | 약 18.9배 |
Beta | 1.26 – 시장 대비 민감도 있음 |
배당금/배당수익률 | $0.84 연간배당 / 0.47% yield |
GOOGL의 P/E는 최근 10년 평균 ~28배 대비 낮은 수준으로, 현재 밸류에이션은 다소 매력적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3. 비즈니스 구성 및 수익 구조
Alphabet(=Google)의 주요 비즈니스와 GOOGL의 수익 기여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Google Search/Ads | 검색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 약 55% |
YouTube | 동영상 광고, 프리미엄 구독 | 약 12% |
Google Cloud (GCP) | 클라우드 서비스, AI API | 약 13%, 연 28% 성장 |
하드웨어 · 기타 | Pixel, Nest 등 디바이스, AI | 약 10% |
Other Bets | Waymo, Verily 등 미래사업 | 1% 이하 |
위 비중은 GOOGL 하나의 주가에 반영된 Alphabet 전체 구조를 나타냅니다.
4. GOOGL vs GOOG – 클래스 A와 C 비교
의결권 | 있음 (1주당 1표) | 없음 |
티커 | GOOGL | GOOG |
유동성 | GOOG보다 약간 낮음 | 상대적으로 높음 |
배당 구조 | 동일 | 동일 |
투자자 선호 | 지배구조 참여자 선호 | 단순 베타 수용자 선호 |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는 의결권 유무가 가장 큰 차별 요소입니다.
5. 장점과 리스크 분석
✅ 강점
- 광고 시장의 절대 강자
검색과 유튜브 광고를 통해 꾸준한 캐시플로우를 창출 . - 클라우드·AI 투자 집중
2025년 AI·클라우드 기반 시설에 $75B CapEx 투자 예정 - 재무 건전성
고마진 서비스 기반으로 강력한 FCF 확보 . - 지주회사 구조 투자 유연성
AI, 헬스, 자율주행 등 미래 기술 대응을 위한 투자 가능.
⚠️ 리스크
- 독점 규제 리스크
미국·미국 법무부, EU 등에서 진행 중인 검색·광고·브라우저 독점 소송 .
"크롬 브라우저 분리"와 같은 블랙스완 가능성도 제기됨 - 광고 시장 민감도
경기 둔화 시 광고 매출 감소 → 주가 민감 반응. - AI 경쟁 심화
MS(OpenAI), Amazon, Meta 등과 AI 패권 경쟁 가속 - 밸류에이션 회복 가능성
P/E가 낮지만 향후 규제·경기 리스크에 따라 추가 하락 가능성 존재.
6. 투자 전략 포인트
- 의결권 중시 투자자는 GOOGL 선택
- 밸류에이션 매력: P/E가 과거 평균 대비 낮아 진입 기회
- 성장 포트폴리오 전략: AI·클라우드 성장세 활용
- 리스크 대응: 규제 이슈 모니터링, 경기 순환 대응 전략 수립
- 배당 및 자사주: 현재 소액 지급, 자사주 매입 확대는 주가 우호적
7. 결론
GOOGL은 검색 광고라는 반석 위에 AI와 클라우드의 미래 투자를 결합한 우량 기술주입니다. 의결권 보유(Class A)를 선호하는 투자자라면 GOOGL이 적합하며, 밸류에이션 매력과 구조적 성장 동력을 고려할 때 장기 우량주로서 가치가 있습니다.
다만, 독점 규제 리스크와 경기 민감도를 고려한 투자 대응이 필요하며, GOOGL과 GOOG의 선택 또한 투자 성향과 지배구조 참여 여부에 따라 갈릴 수 있습니다.
8. 출처 및 참고자료
- Nasdaq 실시간 시세 및 재무 데이터
- P/E, EPS, 밸류에이션 비교
- Q1 2025 실적 보고 (매출 $90.2B, AI·클라우드 성장)
- $75B CapEx 투자 계획 및 AI 전략
- GOOGL vs GOOG 구조 및 유동성 비교
- 독점 규제 소식(Chrome 분리 가능성)
- YouTube 성장성과 역할 변화
※ 본 글은 일반적인 투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며, 특정 금융상품의 매수 또는 매도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본문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신뢰할 만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나, 그 정확성과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본 블로그 운영자는 이 정보를 기반으로 한 투자 결과에 대해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 전 반드시 자신의 재무 상황과 투자 성향에 맞는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